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상식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차이점 총정리

by 잡학상식은 차카니 2024. 12. 4.
반응형

삼국유사삼국사기는 한국의 고대사와 문화유산을 기록한 대표적인 역사서인데요. 두 저작은 각각 고대 삼국시대(고구려, 백제, 신라)의 역사를 기록했지만, 그 목적과 서술 방식, 사료의 해석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죠. 이에 관해 쉽고 자세히 설명했으니 유용한 정보 됐으면 좋겠습니다.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차이점 총정리

 

 

 

 

1.편찬 배경

 

(1) 삼국유사

 - 저자: 일연(一然), 고려 시대의 승려

 - 편찬 시기: 1281년 (고려 충렬왕 때)

 

반응형



○ 편찬 목적

 - 불교적 관점에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 하기 위해

 - 고려의 민족적 자긍심과 정체성을 고취하기 위해

 - 기존의 역사서에 포함되지 않은 신화, 전설, 민간 설화, 불교 이야기를 기록하기 위해

 - 단군신화를 비롯한 고대의 신화와 전설을 통해 민족의 뿌리를 찾으려는 의도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차이점 총정리




(2)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金富軾), 고려의 문신

 - 편찬 시기: 1145년 (고려 인종 때)

 편찬 목적

 - 유교적 관점에서 삼국의 역사를 정리 하기 위해

 - 왕조의 정통성과 국가 중심의 정치적 관점을 확립 하기 위해

 - 중국 사서의 형식을 본떠 정통성을 강조하며 체계적으로 역사 기록 하기위해

 - 신화나 전설을 배제하고 사실에 기반한 기록을 중시

 

2.서술방식과 체제

 

(1) 삼국유사

 서술 형식: 설화적, 서사적.

 - 이야기나 전설, 신화 형식을 통해 사건을 전달 합니다. 

 - 연대기보다는 주제별, 사건별로 나누어 기술 합니다. 


 구성요소

 - 5권 9편으로 구성

 - 각 편은 독립적인 주제를 다루며, 신화와 전설, 종교적 내용을 포함 합니다. 

 주요 구성

 - 왕력(王曆): 삼국의 연대표를 다룸

 - 기이(紀異): 단군신화와 신라 중심의 신화와 전설을 다룸

 - 흥법(興法): 불교 전래와 확산 과정을 다룸

 - 탑상(塔像): 불교와 관련된 유적 및 상징물을 다룸

 - 의해(義解): 불교 경전에 대한 해석을 다룸

 - 효선(孝善): 효도와 선행을 다룬 이야기를 다룸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차이점 총정리




(2) 삼국사기

 - 서술 형식: 기전체(紀傳體)

 - 중국 사서의 형식을 본떠 작성

 - 사실 기록을 중시하며, 왕 중심의 연대기 서술


  구성 체계


 - 50권으로 구성됨

 - 본기(本紀): 삼국의 왕들의 업적과 정치적 사건

 - 열전(列傳): 주요 인물들의 행적을 기록함

 - 지(志): 천문, 지리, 음악 등 제도와 관련된 기록함

 - 표(表): 연표로 각 사건을 정리함

 - 왕조의 계보와 연대를 명확히 기술하며, 정통성을 강조함

 

3.사료의 사용과 역사관

 

(1) 삼국유사

 신화와 전설 중시

 - 단군신화, 박혁거세 신화, 주몽 신화 등 고대의 설화를 수록함

 - 민간에서 전해지는 이야기와 종교적 자료를 적극 활용함


 불교적 관점

 - 불교 전래와 발전을 중점적으로 다룸

 - 불교적 가르침과 관련된 인물 및 사건을 강조


 민족적 정체성 강조

 -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를 수록하며, 단군을 한국의 시조로 내세움

 - 신라 중심의 역사관을 유지하면서도 고구려와 백제의 이야기를 포함함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차이점 총정리



(2) 삼국사기

 사실 중심의 기록

 - 신화와 전설을 철저히 배제하고 역사적 사실만 기록함

 - 왕조의 업적, 정치적 사건, 전쟁 등을 중심으로 서술함


 유교적 역사관

 - 유교적 가치를 기준으로 평가 돼요

 - 왕과 신하의 관계, 충효 사상을 강조함


 중국 중심의 사관

 - 고구려와 백제를 부정적으로 기술하고, 신라 중심의 역사관 유지

 - 중국 사서의 체계를 차용하여 사대주의적 색채가 강해요

 

4.내용적 차이

 

(1) 단군신화의 유무

 삼국유사

 - 단군신화를 수록하며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를 포함 함

 - 단군을 민족의 시조로 삼고있음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차이점 총정리




 삼국사기

 - 단군신화가 포함되지 않음

 - 고조선에 대한 언급은 최소화함



(2) 고구려와 백제 서술

 삼국유사

 - 고구려와 백제의 설화와 전통을 존중함

 - 민족적 통합의 관점에서 고구려와 백제를 다룸


 삼국사기

 - 신라 중심의 역사관 함양

 - 고구려와 백제의 역사적 정통성을 다소 부정적으로 평가됨



(3) 불교 서술

 삼국유사

 - 불교 전래와 승려들의 활동을 강조함

 - 불교와 관련된 설화와 기적담을 포함


 삼국사기

 - 불교는 일부 언급되지만, 유교적 가치와 제도 중심으로 기술

 - 종교적 요소는 상대적으로 적음

 

5.문화적 가치와 영향

 

(1) 삼국유사

 문학적 가치

 - 설화적 서술로 인해 문학적 풍부함이 돋보임

 - 신화와 전설이 생동감 있게 표현되어 한국 고대 문학의 원형을 보여줌


 영향

 - 한국 민속학, 종교학, 문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

 - 단군신화 등 한국의 고유 신화를 통해 민족 정체성을 강화함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차이점 총정리




(2) 삼국사기

 문학적 가치

 - 간결하고 체계적인 서술로 역사적 사실 전달에 중점을 둠

 - 문학적 요소는 삼국유사에 비해 약하지만, 정통 역사서로서의 가치가 높음


 영향

 - 한국 고대사 연구의 기초 자료

 - 유교적 관점에서 역사 서술의 전범(典範)을 제시함

 

6.현대적 평가



(1) 삼국유사

의의

 - 단군신화와 같은 신화적 요소를 통해 한국 고대 문화의 근원을 제공함

 - 민족적 정체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재조명함


한계

 - 역사적 사실보다는 전설과 설화가 많아 신뢰성 부족함



(2) 삼국사기

의의

 - 체계적이고 사실 중심의 역사 기록함

 - 고려 시대 역사학의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저작


한계

신라 중심의 역사관으로 인해 고구려와 백제의 기록이 왜곡되거나 축소됨


결론적으로, 삼국유사는 신화와 전설을 통해 민족적 자긍심과 문화적 유산을 강조한 반면, 삼국사기는 유교적 관점에서 체계적이고 사실적인 기록을 중시한 역사서에요. 이 두 책은 각각 다른 관점과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상호 보완적으로 한국 고대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요. 

 

 

이 외에도 다양항 잡학상식이 있으니 궁금하시면 한번 알아보세요~~

2024.12.02 - [잡다한 상식] - 숨을 쉬는데 지구에 산소가 부족하지 않는 이유는?

 

숨을 쉬는데 지구에 산소가 부족하지 않는 이유는?

숨을 쉬어도 지구에 산소가 부족하지 않는이유는 지구는 수십억 년 동안 대기 중 산소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왔기때문인데요. 인간과 동물은 산소를 호흡하며 에너지를 얻고, 광합성을 통

hysk1333.tistory.com

2024.12.01 - [잡다한 상식] - 13일의 금요일의 저주? 13일의 금요일 총정리

 

13일의 금요일의 저주? 13일의 금요일 총정리

13일의 금요일 (Friday the 13th)은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불길한 날로, 주로 서양권에서 미신과 공포의 상징으로 여겨지는데요. 이 날이 불길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역사적, 종교적, 문화적 배경에

hysk133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