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상식

공리주의란? 공리주의의 모든것

by 잡학상식은 차카니 2024. 12. 17.
반응형

공리주의는 윤리학의 주요 이론 중 하나로, 개인과 사회의 행위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해야 한다는 철학적 원칙을 근간으로 해요. 공리주의는 결과주의(consequentialism)에 속하며, 행위의 도덕성을 그 결과가 가져오는 행복(유익함)이나 고통(해로움)에 따라 판단하죠.18세기와 19세기 영국에서 제레미 벤담(Jeremy Bentham)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립되었는데요 이와 관련하여 보다 쉽고,자세히설명했으니 유용한 정보 됐으면 좋겠습니다

공리주의란? 공리주의의 모든것

 

 

 

 

1.기본 원칙

 

1. 최대 행복의 원칙

공리주의의 핵심은 행위의 도덕성이 그 행위가 가져오는 행복(쾌락)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에요.

행복은 쾌락의 증대와 고통의 감소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행위는 개인과 사회 전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해요

반응형



2. 결과 중심주의

공리주의는 행위 자체의 의도나 동기를 중요시하지 않고, 그 결과가 최대의 행복을 가져오는지에 초점을 맞춰요



3. 보편적 이익

공리주의는 개인의 이익뿐 아니라, 행위가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요.이는 개인의 행복과 사회 전체의 행복을 조화롭게 결합하려는 시도랍니다

 

2.주요 학자와 이론

 

(1) 제레미 벤담(Jeremy Bentham)

벤담은 공리주의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철학은 양적 공리주의로 불려요.그는 인간이 고통과 쾌락을 기준으로 행동한다고 보았고, 이를 수량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쾌락 계산법(Felicific Calculus) 벤담은 쾌락과 고통을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측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강도(Intensity): 쾌락이나 고통이 얼마나 강렬한가?

- 지속성(Duration): 쾌락이나 고통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가?

- 확실성(Certainty): 쾌락이나 고통이 발생할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가?

- 근접성(Proximity): 쾌락이나 고통이 얼마나 빨리 발생하는가?

- 다산성(Fecundity): 한 쾌락이 다른 쾌락을 낳을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가?

- 순수성(Purity): 쾌락이 고통과 섞이지 않을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가?

- 범위(Extent): 쾌락이나 고통이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가?

 

공리주의란? 공리주의의 모든것






(2)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밀은 벤담의 제자인 동시에 공리주의를 발전시킨 사상가로, 질적 공리주의를 제안했습니다. 그는 쾌락의 양뿐 아니라 질적인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 쾌락의 질

밀은 정신적 쾌락(지적 활동, 예술 감상 등)이 육체적 쾌락보다 더 고귀하고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보았는데요
"만족한 돼지보다 불만족한 인간이 낫고, 만족한 바보보다 불만족한 소크라테스가 낫다."


- 개인의 권리와 공리주의

밀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공리주의의 맥락에서도 존중받아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다수의 행복이 개인의 기본적인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죠

 

3.유형 

 

1. 행위 공리주의(Act Utilitarianism)

각 개별 행위의 결과를 고려하여 그 행위가 최대의 행복을 가져오는지 판단합니다.

가령, 한 사람을 희생시켜 다수를 구할 수 있다면, 희생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봐요



2. 규칙 공리주의(Rule Utilitarianism)

개별 행위보다는 일반적 규칙이 최대의 행복을 가져올 수 있는지를 고려합니다.예를 들어, 살인을 금지하는 규칙은 사회 전체의 행복에 기여하므로 일반적으로 준수해야 하죠

공리주의란? 공리주의의 모든것




3. 양적 공리주의(Quantitative Utilitarianism)

쾌락의 양을 중시하며, 벤담의 이론에 기반하고 있어요



4. 질적 공리주의(Qualitative Utilitarianism)

쾌락의 질적 차이를 강조하며, 밀의 철학에 근거한답니다

 

4.장점

 

1. 명확한 도덕 기준

공리주의는 행복과 고통이라는 명확한 기준을 통해 도덕성을 평가해요



2. 결과 중심적 사고

실제 결과를 중시함으로써 현실적인 윤리적 판단을 가능하게 해요

 

공리주의란? 공리주의의 모든것






3. 사회적 이익 강조

공리주의는 개인의 이익뿐 아니라 전체 사회의 행복을 고려하므로 공익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죠



4. 적용 가능성

공리주의는 다양한 상황에서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론이에요

 

5.한계와 비판

 

1. 개인의 권리 침해

다수의 행복을 위해 소수의 권리가 희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받습니다.

예를들어, 한 사람을 희생시켜 다수를 구하는 행위가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가? 등

공리주의란? 공리주의의 모든것




2. 쾌락의 측정 어려움

쾌락과 고통은 주관적이며,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거나 비교하기 어렵죠



3. 예측의 불확실성

행위의 결과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어려우며, 잘못된 판단으로 인해 비도덕적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어요



4. 공리주의의 과도한 계산 요구

매 상황에서 모든 결과를 계산하고 판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답니다



5.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 간의 갈등

특정 규칙이 일반적으로는 옳더라도, 개별 상황에서 규칙을 어기는 것이 더 큰 행복을 가져올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로 인해 두 접근 방식 간 충돌이 발생할 수 있어요

 

6.현대적 공리주의

 

공리주의는 현대 윤리학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변형과 응용을 통해 논의되고 있습니다.

(1) 피터 싱어(Peter Singer)의 효과적 이타주의

공리주의의 원칙을 바탕으로, 인간이 어떻게 자신의 자원을 최대한 많은 이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지 탐구합니다.
그는 전 세계의 빈곤 문제나 동물 권리 문제에서 공리주의적 접근을 강조해요

 

공리주의란? 공리주의의 모든것





(2) 환경 공리주의

인간의 행복뿐만 아니라, 환경과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공리주의적 접근이 제안되요


(3) 경제학과 공리주의

공리주의는 비용-편익 분석(cost-benefit analysis)과 같은 경제학적 도구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정책 결정의 윤리적 근거로 자주 활용되고 있습니다

 

7.결론

 


공리주의"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기준으로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강력한 윤리 이론입니다. 제레미 벤담과 존 스튜어트 밀의 기초 이론은 행위와 결과의 윤리적 가치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하죠. 그러나 공리주의는 개인의 권리 침해, 결과 예측의 어려움 등 여러 한계와 도전을 받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현대에도 이어지고 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리주의는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 윤리적 판단과 정책 결정의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항 잡학상식이 있으니 궁금하시면 한번 알아보세요~~

2024.12.13 - [잡다한 상식] - 정장이란? 정장의 역사,종류 등 정장의 모든것

 

정장이란? 정장의 역사,종류 등 정장의 모든것

이번시간에는 정장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합니다.정장의 역사,종류 등 정장에 대해 쉽고 자세히 설명했으니 유용한 정보 됐으면 좋겠습니다.    ≣ 목차1.정장의 역사2.정장의 구성

hysk1333.tistory.com

2024.12.10 - [잡다한 상식] - 프리미어리그(EPL)란 무엇인가?EPL의 모든것 총정리

 

프리미어리그(EPL)란 무엇인가?EPL의 모든것 총정리

프리미어리그(Premier League)는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고 경쟁이 치열한 축구 리그 중 하나로, 잉글랜드 축구 1부 리그에 해당하는데요. 1992년에 출범한 이 리그는 뛰어난 선수들과 감독, 그리고 막

hysk1333.tistory.com

2024.12.02 - [잡다한 상식] -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차이점 총정리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차이점 총정리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는 한국의 고대사와 문화유산을 기록한 대표적인 역사서인데요. 두 저작은 각각 고대 삼국시대(고구려, 백제, 신라)의 역사를 기록했지만, 그 목적과 서술 방식, 사료의 해

hysk1333.tistory.com

 



반응형